본문 바로가기

학점은행제 관련 !/학사학위/편입

직장인 대학원 진학, 방통대 학점은행제 비교분석 !?

반응형

직장인 대학원 진학, 방통대 학점은행제 비교분석 !?



안녕하세요 ~


전문학습설계팀 MENTOS-TEAM

직장인 대학원 진학 전담컨설턴트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최종학력은 중요시되는 사항이라

고졸 및 초대졸 학력을 갖고있다면 불리하죠.


그래서 회사를 다니는 분들은 직장인 대학원 진학을

지위상승 및 인사고과 반영의 이유로 생각하고,


어떻게 직장인 대학원 진학을 준비해야하는지

찾아보는 분들이 많다고 알고있는데요 ?


직장인 대학원 진학을 하기위해서는 4년제졸업장을

갖추고 있어야하기에 고졸 및 초대졸은 기회가 없죠.


그래서 시간을 쪼개서 대학교를 진학해야하는지

고민하고 계실텐데 회사업무때문에 불가능해서,


방통대 학점은행제 등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


그렇다면, 방통대 학점은행제 비교분석을 도와드릴테니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집중해서 저를 따라와주세요 !




직장인 대학원 진학, 방통대 학점은행제 무엇인가요 ?!


방송통신대학교 과정은 4년제졸업장을 한국방송통신

대학교라는 곳에 입학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수업난이도가 어렵고, 중간/기말고사 및 레포트 제출을 

할 때에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출석을 해야하며,


졸업을 위해서는 논문을 제출해야하기에 평균적으로 6년이 걸려요.


그렇다면 단점들을 상쇄할 수 있는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사이버

대학교육제도 학점은행제, "학은제" 라는 과정을 알아보실까요 ?




* 직장인 대학원 진학, 방통대 학점은행제 수업방식 차이점 !?


방통대 학점은행제를 찾아보신다면 온라인수업으로

학습과정을 마칠 수 있다는 부분이 공통점인데요 ?


앞서 말씀드렸던 방송통신대학교 과정은 시험 및 레포트 

제출 시에 학교에 출석해야한다는 부담감이 있지만,


학은제 과정은 시험 및 과제 제출까지 100%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메리트가 존재한답니다 ~


그렇기에 본업이 있어 바쁘신 분들이라면 평일에 수업을

나눠서 끊어듣거나 주말에 몰아서 듣는 것이 가능하고,


방송통신대학교처럼 짜여있는 수업시간표가 없다보니

개인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죠 ~


그렇다면 방통대 학점은행제 졸업기간에 대해 비교분석을

해드릴테니 집중하시고 저를 계속 따라와주세요 !




* 직장인 대학원 진학, 방통대 학점은행제 졸업기간의 차이는 ?!


직장인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데 방통대 학점은행제의

4년제졸업장을 취득하는 기간이 달라진다는 사실 !


방송통신대학교는 앞서 언급해드렸듯이 평균적으로 6년의

기간이 소요되어 직장인 대학원 진학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학은제는 1년 ~ 2년 6개월만에 4년제졸업장을 

취득하여 직장인 대학원 진학을 준비할 수 있답니다.


정규대학에서 필요한 4년 혹은 방송통신대학교에서 필요한

6년의 기간을 1년 ~ 2년 6개월로 단축한다는 것은 큰 장점인데요 ?


개인마다 4년제졸업학력 취득까지의 기간에 차이가 있으니

확실한 기간을 설정하기위해서는 전문가에게 문의하세요 ~




★ 직장인 대학원 진학, 학은제 과정은 어렵지 않을까요 ?


지금까지 직장인 대학원 진학을 효율적으로, 빠르고 쉽게 

하는방법에 대해서 비교분석을 통해 설명을 도와드렸는데요 ?


처음 들어보는 학은제라는 사이버 교육제도를 진행한다는

낯섬 속에서 혼자서 공부해야한다는 부담감까지 있으시다면,


관련 교육제도의 전문가, 1:1 학습멘토에게 도움을 받아야하는데요.


직장인 대학원 진학 상황에 맞는 학습상담 및 컨설팅 도움제공이 

가능해서 올바른 길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역할을 할 수 있답니다.


간혹, 불법적으로 상담 및 컨설팅 비용을 요구하는 사람들과

교육부에서 허가받지않은 비인가교육원 소속의 사람들이 있으니,


교육부에서 허가받은 사이버교육원 소속의 "정식" 학습멘토,

그 중에서도 1:1 멘토링까지 무료로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찾으세요 !


개인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주말/공휴일과 관계없이 상담이

가능하니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주저하지말고 문의하세요 :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