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점은행제 관련 !/학사학위/편입

신문방송학과 편입, 언론고시 합격의 첫 걸음

반응형

안녕하세요 ~


전문학습설계팀 MENTOS-TEAM

학위취득 전담컨설턴트입니다 ^ㅡ^


최근 기자/방송 스태프와 관련된 프로그램도 많이 제작되고

예능프로그램 등에서 PD와 스태프 등이 심심찮게 등장하면서,


관련 직종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분들 많으시죠 ?


그 중에는 실질적으로 진로로 생각하고 언론고시 

합격을 위해서 많은 준비를 하고 계시겠지만,


언론고시의 첫 단계, 서류심사를 통과하려면 높은 

스펙의 관련학과 졸업장이 있어야한다는 사실 !


아무리 비전공학과 졸업자도 채용이 가능하다지만 아직까지

대한민국에서 출신학교와 학과를 무시할 수 없는데요 ?


그래서 신문방송학과 편입을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남들보다 단기간에 편리하게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 신문방송학과 편입, 언론고시 합격을 향해서


신문방송학과 편입 및 입학을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대학교를 졸업한 분들과, 다른 전공으로 대학을 다니시는 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로 나뉠텐데요.


실질적으로 신문방송학과 편입을 준비하는 이유는 입학을 위해서 

높은 경쟁률의 수능시험을 다시 응시해야한다는 부담감이 있어서죠.


신문방송학과 편입에 대해 알아보셨다면 시험에 

지원하는 조건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셨을텐데요 ?


기본적으로 2년제졸업장/4년제졸업장이 있어야한다는 사실 !


하지만, 졸업장이 없는 분들이라면 빠른시간 내에 온라인수업만으로

졸업장 취득이 가능한 학점은행제, "학은제" 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




# 학점은행제 ?!


이 제도는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평생교육 대학제도로써 

수업 진행방식이 100% 온라인으로 진행되는데요?


그렇기에 신문방송학과 편입 시험에 필요한 "영어" 공부와 함께

병행하여 준비조건을 갖출 수 있다는 메리트가 존재하고,


일반대학교처럼 정해진 수업시간표가 있지않아서 개인의

시간에 맞춰서 자유롭게 수업을 이수하는 것이 가능해요.


즉, 평일에 수업을 끊어서 듣거나 주말에 몰아서 들을 수 있고

핸드폰과 컴퓨터만 있다면 언제든지 수업이수가 되죠.


그래서 신문방송학과 편입을 생각하는 분들이

"학점은행제" 로 많이들 준비하는 이유랍니다 !




# 신문방송학과 편입 준비하는 기간은 ?!


그렇다면 준비조건을 완성하는데 어느정도 걸리는지 궁금하시죠 ?


일반적인 신문방송학과 편입이라면 2년제졸업장이 필요하기에

1년 내에 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높답니다.


4년제졸업장이 필요한 신문방송학과 편입방법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서 1년 ~ 2년 6개월의 시간이 필요한데요 ?


4년제졸업장을 기본적으로 요구하는만큼 응시하는 인원이 적어서

상대적으로 일반적인 방법보다 경쟁률이 낮다는 이점이 있답니다.


신문방송학과 편입을 가장 빠르게, 효율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개인에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야하기에,


정확한 기간설정과 방법설정은 1:1 학습멘토에게 상담받아보셔야해요  !



◆ 신문방송학과 편입, 혼자서 잘할 수 있을까요 ?


지금까지 신문방송학과 편입, 어떻게 준비해야하는지 알려드렸어요.


목표를 달성하여 관련학과를 졸업한다면 언론고시를 준비하는 길이

더욱 수월해진다는 메리트가 있어서 관심있는 분들이 많은데요 ?


처음 들어보는 온라인 교육제도를 이용해야한다는 부담감이 있고

혼자서 진행해야한다는 두려움에 시작 자체를 고민하신다면,


관련 교육제도의 전문가, 1:1 학습멘토를 찾아야한답니다 !


학습멘토는 상담을 통해 개인의 상황을 파악하고 적합한 컨설팅 및 

멘토링 등으로 전반적인 학습지원을 100% 무료로 도와줄 수 있어요.


그렇다면 어떤 학습멘토를 만나야할까요 ?


교육부에서 허가받은 사이버교육원 소속의 "정식" 1:1 학습멘토를 찾아야만 

상담이나 학습지원 과정에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


일반적인 콜센터직원들과 다르게 개인번호를 사용하여 평일저녁 / 주말

상관없이 언제든지 궁금한 사항을 해결해드릴 수 있으니 문의주세요 :D






반응형